반응형

 

A/V-(으)면

앞의 내용(A/V)은 어떠한 상황에 대한 가정을 나타냅니다. 상황은 사실적인 것과 가상적인 것의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과거의 상황을 가정할 때에는 A/V-았으면/었으면을 사용합니다.

(1) 사실적 상황

확실하거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사실,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사건, 자연적인 법칙 등을 가정합니다. '만약(에), 만일(에)'와 같이 쓸 수 없습니다.

예문)

봄이 지나면 여름이 옵니다.   (사실적 상황)

(만약에) 내일 날씨가 좋으면 소풍을 가겠습니다.  (가상적 상황)

 

(2) 가상적 상황

불확실하거나 실현 가능성이 낮은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만약(에), 만일(에)'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예문) 만약 내일 비가 안 오 등산을 갈 거예요.

 

 

A-다면, V-ㄴ/는다면

앞의 내용(A/V)은 가상적인 상황에 대한 가정을 나타냅니다. 불확실하거나 실현 가능성이 낮은 상황, 또는 상상에 대한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하며, '만약(에), 만일(에)'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과거의 상황을 가정할 때에는 'A/V-았다면/었다면'을 사용합니다.

예문)

만약 타임머신이 있다면 미래로 가서 10년 후의 내 모습을 보고 싶다.

만일 열심히 공부했다면 모두 100점을 맞을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A/V-(으)면  vs.  A-다면, V-ㄴ/는다면

 

'A/V-(으)면'사실적 상황과 가상적 상황에 모두 사용되는 반면에, 'A-다면, V-ㄴ/는다면'가상적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상적 상황에서는 두 문법항목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지만 'A-다면, V-ㄴ/는다면'은  'A/V-(으)면'보다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판단은 화자(말하는 사람)의 심리적인 태도에 따라 선택되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