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탈락
'ㄹ' 받침으로 끝나는 형용사나 동사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받침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매개모음 '으'를 결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어미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문법의 경우에는 반드시 'ㄹ' 받침은 탈락합니다.
Adjectives or verbs ending with the final consonant 'ㄹ' do not combine with the linking vowel '으' when attaching an ending. Instead, it is treated as if there is no final consonant. Additionally, in grammatical cases where the ending starts with 'ㄴ, ㅂ, ㅅ', the final consonant 'ㄹ' is always dropped.
Các tính từ hoặc động từ kết thúc bằng phụ âm 'ㄹ' khi kết hợp với hậu tố không ghép với nguyên âm trung gian '으'. Thay vào đó, nó được coi như không có phụ âm cuối. Ngoài ra, trong các trường hợp ngữ pháp mà hậu tố bắt đầu bằng 'ㄴ, ㅂ, ㅅ', phụ âm cuối 'ㄹ' luôn bị loại bỏ.
'ㄹ' 탈락 동사, 형용사
'ㄹ' 탈락 동사: 살다, 열다, 팔다, 만들다 / 'ㄹ' 탈락 형용사: 길다, 멀다
예문
1. 저는 서울에 삽니다. (← 살다: 살+ㅂ니다)
2. 더우면 창문을 여세요. (← 열다: 열+세요)
3. 저기에서 많은 과일을 파네요. (← 팔다: 팔+네요)
4. 저는 한국 음식 중에 떡볶이를 잘 만듭니다. (← 만들다: 만들+ㅂ니다)
5. 제 여자 친구는 머리카락이 깁니다. (← 길다: 길+ㅂ니다)
6. 네이마르 씨 고향은 브라질이죠? 참 머네요. (←멀+네요)
'-(으)' 문법이 있을 때의 'ㄹ' 탈락
'-(으)ㄹ까요, -(으)ㄹ 거예요'와 같은 '-(으)ㄹ' 형태의 어미와 결합할 때도 역시 'ㄹ' 받침이 탈락됩니다.
When combined with endings like '-(으)ㄹ까요' or '-(으)ㄹ 거예요', which have the '-(으)ㄹ' form, the final consonant 'ㄹ' is also dropped.
Khi kết hợp với các hậu tố như '-(으)ㄹ까요' hoặc '-(으)ㄹ 거예요', có dạng '-(으)ㄹ', phụ âm cuối 'ㄹ' cũng bị loại bỏ.
[예문, Example, Ví dụ]
1. 집에서 불고기를 만들까요? (← 만들다: 만들+ㄹ까요?)
2. 내년에는 부산에 가서 살 거예요. (← 살다: 살+ㄹ 거예요)
'ㄹ' 탈락 활용 표
-네요 | -ㅂ니다/습니다 | -(으)세요 (높임말) | -(으)ㄹ까요? | |
살다 | 사네요 | 삽니다 | 사세요 | 살까요? |
열다 | 여네요 | 엽니다 | 여세요 | 열까요? |
팔다 | 파네요 | 팝니다 | 파세요 | 팔까요? |
만들다 | 만드네요 | 만듭니다 | 만드세요 | 만들까요? |
길다 | 기네요 | 깁니다 | 기세요 | - |
멀다 | 머네요 | 멉니다 | 머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