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사
한국어의 조사는 크게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뉩니다.
격조사는 선행 명사구가 자신이 의존하는 핵(주로 서술어)과 맺는 문법적/의미적 관계를 나타냅니다.
보조사는 선행 명사구가 문면에 실현되지 않은 다른 명사구나 전제 상황과의 관계 속에서 어떤 의미 관계에 놓이지는지를 나타냅니다.
접속조사는 단순히 둘 이상의 명사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합니다.
한국어의 격조사
격이란 핵이 있는 구성에서 핵에 의존하는 명사(구)가 핵에 대해 가지는 문법적/의미적 관계의 유형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법적/의미적 관계는 일정한 격 표지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고, 일치 관계나 어순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어에서는 제한적인 맥락에서 격이 기본적인 어순을 바탕으로 하여 표시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격 표지가 붙어 격이 표시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한국어 격조사의 특징
1. '이/가, 을/를, (으)로, 와/과'에서 보듯이 인접한 선행어의 음운론적인 성격(즉, 자음으로 끝나느냐, 모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변이형이 존재합니다. 이는 한국어 격조사가 접속사적 성격을 지니고 선행어와 긴말하게 결합됨을 알려 줍니다.
2. 한국어의 격조사는 단어 표시(word-marking) 체계가 아니라 구 표시(phrase-marking) 체계를 이룹니다. 즉, 한국어는 단어마다 격이 표시되지 않고 구 전체에 격이 표시되는 것입니다.
3. 한국어의 격조사는 그 실현이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한국어에서는 격(case)과 격 형태(case form)가 구별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어에서는 격 표지가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이것이 격이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한국어 격조사의 분류
한국어의 격조사는 크게 문법격 조사와 의믜격 조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문법격 조사는 의미적 관계와 무관한 통사적 관계를 표시하고 의미격 조사는 위치, 도구와 같은 의미적 관계를 표시합니다. '이/가, 을/를, 의'는 문법격 조사에 속하며, '에/에게, 에서, (으)로, 와/과'는 의미격 조사에 해당합니다.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의 구분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는 그 용법이 일부 겹치기는 하나, 대체로 네 가지 점에서 구분됩니다.
1. 명사 병렬 구조에서 문법격 조사는 전체 구성에 한 번 나타나지만, 의미격 조사는 병렬된 명사 각각에 나타날 수도 있고 병렬 구조 전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1) [지민과 수지]가 (O), [지민가]와 [수지가] (X)
(2) [지민과 수지]에게 (O), [지민에게]와 [수지에게] (△)
2. 문장을 명사구로 변환할 때, 문법격 조사인 '이/가, 을/를'은 생략이 되지만, 의미격 조사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3. 문법격 조사와 문법격 조사는 서로 중첩될 수 없지만,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 의미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는 일부 제한된 구성에서는 중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가 중첩될 때는 순서의 제약이 있으므로 문법격 조사가 의미격 조사에 후행하여 의미격 조사가 명사구에 더 가깝게 결합해야 합니다.
4. 문법격 조사는 의미적 관계와 무관하므로, 선행어의 의미역이 매우 다양합니다. 반면에 의미격 조사는 대체로 의미적 관계를 표시하므로 그 선행어의 의미역이 다양하지 못합니다.
한국어의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
[1] 문법격 조사
한국어의 문법격 조사에는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관형격 조사, 호격 조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 모두는 각각 주어, 목적어, 관형어, 독립어 기능과 긴밀한 관계에 있으나 이러한 문법적 기능과 격 관계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주격 조사 '이/가'는 주어라는 문법적 기능의 표시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나 '이/가'가 모두 주어 기능을 표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것은 목적격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을/를' 역시 선행어가 목적어임을 늘 표시하지는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의미격 조사
한국어의 의미격 조사에는 처소격 조사 '에, 에서, 에게, 에게서', 도구격 조사 '(으)로', 공동격 조사 '와/과, (이)랑, 하고' 등이 있습니다. 처소격 조사는 장소 개념을 바탕으로 시간적, 공간적 범위나 목표 및 원인 등의 의미 관계를 표현하고 도구격 조사는 수단이나 도구, 방향, 자격 등의 다양한 의미 관계를 표현합니다. 공동격 조사는 어떤 행위나 상태가 성립하는 데에 함께 참여하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의미격 조사가 붙은 명사구는 모두 문장 성분 상 부사어에 해당하므로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격을 정의하는 이론에서는 의미격 조사는 모두 부사격 조사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