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구두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1. 개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중반까지 성행한 외국어 교수법입니다. 원래 이 교수법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육군에서 사용한 외국어 훈련 방식에서 영향을 받아 발달한 방법입니다. 이 교수법은 청화식 교수법(Aural-oral Method)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명칭이 나타내듯이 듣기와 말하기를 우선적으로 익히고 이 능력을 토대로 읽기와 쓰기 기술도 계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특징
(1)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순으로 가르치며, 듣기와 말하기를 강조한다.
(2) 가르칠 내용으로 대화 형태를 사용한다.
(3) 모방, 암기, 반복을 통해 습관을 형성하도록 이끈다.
(4) 모국어는 허영하되 가능하면 자제한다.
(5) 문장은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어휘는 맥락 속에서 도입한다.
(6) 어학 실습슬이나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다.,
3. 수업의 구성
학습할 어휘와 구조를 대화문으로 제시 → 대치, 변형, 확대, 연결, 응답 연습 등 문형 연습 → (문법의 귀납적인 제시) → 대화 상황 속에서의 언어 사용 연습 |
4. 평가
청각 두식 교수법은 학습 초기부터 정확한 발음 훈련, 자연스러운 구어를 통한 듣기와 말하기 훈련, 집중적인 문형 연습 등을 통하여 제한된 범위에서 듣고 말하는 능력을 길러 주고 학습자에게 성취감을 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교수 방법은 그 목표인 이중언어 사용자의 양성에 실패하였는데, 이는 이 교수법에서 제시하는 연습이 기계적이어서 실제 상황에서 그 문형을 응용하도록 하는 전이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교수법의 다른 단점으로는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고 듣기나 말하기를 통한 단조롭고 지루한 반복 연습을 일방적으로 제시하여 문자 언어를 선호하는 학습자나 규칙화를 원하는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떨어트린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 문법 번역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8
* 직접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