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법 번역식 교수법 (Grammar-Translation Method)
1. 개관

문법 번역식 교수법가장 고전적인 교수 방법으로 문법 규칙의 설명과 번역에 중점을 두는 교수법입니다. 고전적인 교수법(Classical Method)이라고도 불리는 이 교수법은 17세기 이전 유럽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가르칠 때 사용한 방법으로, 18세기 전반부터 19세기 전반가지 외국어를 가르칠 때 널리 사용되었고, 19세기 후반에는 여러 나라에 보급되어 현재까지도 약간씩 수정 및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특징

(1) 외국어 연구의 목표는 문학 작품을 읽거나 정신 수양과 지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2) 읽기와 쓰기에 중점을 두고, 말하기나 듣기에는 체계적인 관심을 두지 않는다.

(3) 어휘는 읽기 텍스트에서 선택되고, 어휘 학습을 위하여 목표어와 모국어의 어휘 목록이 제시된다.

(4) 문법은 연역적으로 학습된다. 즉, 문법규칙을 제시하고 익히고 번역 과정을 통하여 연습된다.

(5) 정확성이 강조되고, 학습자의 모국어가 교수 상황에서 매개어로 쓰인다.

 

3. 수업의 구성
자세한 문법 설명 → 약간의 구조 연습 → 모국어로 번역 → 어휘의 암기

 

4. 평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문법 규칙을 철저히 익혀 정확성을 기르고 읽기와 번역을 권장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러 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1) 현대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이 어렵다. (2) 언어의 본질이 음성이라는 근대의 언어관에 맞지 않는다. (3) 규칙의 학습도 활용을 위한 규칙이라기보다는 규칙을 위한 규칙에 머무른다. (4) 정상적인 규칙보다는 예욎거인 규칙이 중시되기 쉽다. (5) 많은 학습자의 학습 의욕이나 동기를 충족하지 못한다.

 

* 직접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9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직접 교수법 (Direct Method) 1. 개관 직접 교수법은 18세기에서 19세기 중반에 걸쳐 대두된 교수법으로 당시의 외국어 교육계를 지배하던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외국

taoreumdal.tistory.com

* 청각 구두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0

 

청각 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청각 구두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1. 개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중반까지 성행한 외국어 교수법입니다.

taoreumdal.tistory.com

* 침묵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1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침묵식 교수법 (Silent Way) 1. 개관 침묵식 교수법은 영국의 수학 교육자인 가태그로(Galeb Gategno)가 1960년대에 개발하여 1970년대에 널리 퍼졌습니다. 이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수업 시간

taoreumdal.tistory.com

* 전신 반응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2

 

전신 반응식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전신 반응식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1. 개관 전신 반응식 교수법은 학습자가 주어진 명령에 대하여 몸으로 직접 반응을 함으로써 외국어를 익히게 하는 방법입니다. 미국의 제임스 애셔(James

taoreumdal.tistory.com

* 의사소통식 접근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3

 

의사소통식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의사소통식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 1. 개관 19060년대 후반부터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외국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계발에 두려는 의사소통식 접근법이 등장하였습니

taoreumdal.tistory.com

* 과제 중심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4

 

과제 중심 교수법(Task-Based Language Learning)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과제 중심 교수법 (Task-Based Language Learning) 1.개념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의미에 초점을 두고 언어를 이해, 처리, 생산하는 모든 활동을 뜻하는 과제를 언어 교수의 핵심 다위로 사용하는 교수법입

taoreumda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