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식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
1. 개관
19060년대 후반부터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외국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계발에 두려는 의사소통식 접근법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접근법은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영국의 기능주의 언어학과 미국의 사회언어학의 영향으로 전개된 교수 접근 방식입니다. 이 접근법은 의사소통의 원리, 과제의 원리, 유의미함의 원리라는 이론적인 전제를 바탕으로 여러 방법론을 포함합니다. 의사소통식 접근법은 1970년대 이후 현대 외국어 교육의 경향과 부합되는 방법론들을 제시하여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2. 특징
(1) 이 접근 방법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이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다.
(2) 의마가 중요시되고, 맥락화가 기본적인 원리이다.
(3) 목표어로 의사소통하려는 학습자의 시도가 장려된다.
(4) 자료의 제시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내용, 기능, 의미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5) 모국어의 사용은 상황에 따라 용인되고, 번역도 학습에 도움이 되면 활용한다.
(6) 학습자의 요구와 선호에 따라 학습 활동과 전략이 다양하게 활용된다.
3. 수업의 구성
의사소통적 접근법의 수업 절차는 예전의 교수법과 아주 다른 혁신적인 절차보다 더 진전된 것입니다. 리틀우드(littlewood, 1981)의 교수 절차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전 의사소통
(1-1) 구조적 활동: 문법 체계와 언어 항목이 결합되는 방식에 초점을 두는 활동
(1-2) 유사 의사소통 활동: 형식적 연습에서 실제 의사소통으로 이어 주도록 고안된 전형적인 대화 주고받기 활동
(2) 의사소통 활동
(2-1) 기능적 의사소통 활동: 학습자들이 정보의 차이(information gap)를 극복하고나 문제를 해결하도록 상황이 구조화된 활동
(2-2)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 기능적 의사소통 활동보다 더 분명한 사회적 맥락이 있으며, 예컨대 시뮬레이션이나 역할 맡기 활동
4. 평가
의사소통적 접근법은 현대의 외국어 교육의 경향과 부합되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특정 방법론을 고집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습자의 요구와 선호에 따른 융통성 있는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의사소통 능력의 효율적인 계발을 위하여 문제점의 보완에 힘씁니다. 다른 모든 교수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의사소통식 교수법에 대하여 최근에 제기되는 문제접으로는 외국어와 제2언어의 학습이 달라져야 하나 이 부분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 문법 번역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8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문법 번역식 교수법 (Grammar-Translation Method) 1. 개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가장 고전적인 교수 방법으로 문법 규칙의 설명과 번역에 중점을 두는 교수법입니다. 고전적인 교수법(Classical Method)이라
taoreumdal.tistory.com
* 직접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9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직접 교수법 (Direct Method) 1. 개관 직접 교수법은 18세기에서 19세기 중반에 걸쳐 대두된 교수법으로 당시의 외국어 교육계를 지배하던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외국
taoreumdal.tistory.com
* 청각 구두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0
청각 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청각 구두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1. 개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중반까지 성행한 외국어 교수법입니다.
taoreumdal.tistory.com
* 침묵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1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침묵식 교수법 (Silent Way) 1. 개관 침묵식 교수법은 영국의 수학 교육자인 가태그로(Galeb Gategno)가 1960년대에 개발하여 1970년대에 널리 퍼졌습니다. 이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수업 시간
taoreumdal.tistory.com
* 전신 반응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2
전신 반응식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전신 반응식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1. 개관 전신 반응식 교수법은 학습자가 주어진 명령에 대하여 몸으로 직접 반응을 함으로써 외국어를 익히게 하는 방법입니다. 미국의 제임스 애셔(James
taoreumdal.tistory.com
* 의사소통식 접근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3
의사소통식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의사소통식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 1. 개관 19060년대 후반부터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외국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계발에 두려는 의사소통식 접근법이 등장하였습니
taoreumda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