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제 중심 교수법
(Task-Based Language Learning)
1.개념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의미에 초점을 두고 언어를 이해, 처리, 생산하는 모든 활동을 뜻하는 과제를 언어 교수의 핵심 다위로 사용하는 교수법입니다. 의사소통식 접근 방법(communicative approach)의 원리에 근거하여 개발된 방법으로 학습 결과보다는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교수법입니다. 이 교수법에서는 목적, 내용, 활동 절차, 결과가포함된 구조화된 언어 학습 노력인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자는 실제 의사소통을 행하고 의미에 역점을 두어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봅니다.

 

2. 특징

과제 중심 교수법이 제2언어 습득론의 광법위한 지지를 받는 점은 주목할 만한합니다. 과제는 크라센(Krashen)의 '이해 가능한 입력(i+1)'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미 협상'을 하도록 유도하며, 적절하고 생산적인 언어의 사용을 이끌어 스웨인(Swain)이 제안한 '생산적인 출력'이 가능하게 하여, 자연적이고 의미있는 의사소통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3. 과제(task)

과제는 실제적인 과제교육적인 과제로 나뉘는데, 실제로 114에 전화를 걸어 특정 번호를 알아내기, 음식 배달시키기, 장소 찾아가기 등이 실제적인 과제라면, 교실에서 전화 걸기 짝 활동, 배달시키기 역할극과 장소 찾아가기 역할극 등은 교육적인 과제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4. 과제를 활용한 수업

과제 수업은 과제의 목표를 확인하고 과제 관련 브레인스토밍 활동 등으로 구성되는 과제 전 활동,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 활동, 과제 수행 내용을 발표하고 평가하는 과제 후 활동으로 진행됩니다.

 

5. 평가

과제 중심 교수법은 교수를 위한 일차적인 교육적 입력 자료를 과제에 의존하며, 체계적인 문법적이나 다른 유형의 교수 요목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런데 과제 유형, 과제의 순서 배열, 과제 수행의 평가 등은 아직도 더 명확히 되어야 할 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 문법 번역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8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문법 번역식 교수법 (Grammar-Translation Method) 1. 개관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가장 고전적인 교수 방법으로 문법 규칙의 설명과 번역에 중점을 두는 교수법입니다. 고전적인 교수법(Classical Method)이라

taoreumdal.tistory.com

* 직접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29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직접 교수법 (Direct Method) 1. 개관 직접 교수법은 18세기에서 19세기 중반에 걸쳐 대두된 교수법으로 당시의 외국어 교육계를 지배하던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외국

taoreumdal.tistory.com

* 청각 구두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0

 

청각 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청각 구두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1. 개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중반까지 성행한 외국어 교수법입니다.

taoreumdal.tistory.com

* 침묵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1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Method)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침묵식 교수법 (Silent Way) 1. 개관 침묵식 교수법은 영국의 수학 교육자인 가태그로(Galeb Gategno)가 1960년대에 개발하여 1970년대에 널리 퍼졌습니다. 이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수업 시간

taoreumdal.tistory.com

* 전신 반응식 교수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2

 

전신 반응식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전신 반응식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1. 개관 전신 반응식 교수법은 학습자가 주어진 명령에 대하여 몸으로 직접 반응을 함으로써 외국어를 익히게 하는 방법입니다. 미국의 제임스 애셔(James

taoreumdal.tistory.com

* 의사소통식 접근법 https://taoreumdal.tistory.com/33

 

의사소통식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언어 외국어 한국어 교수 이론

의사소통식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 1. 개관 19060년대 후반부터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외국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계발에 두려는 의사소통식 접근법이 등장하였습니

taoreumda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